기타이야기

IMF의 위안화 SDR편입이 무엇이기에...

콧물좌 2015. 12. 4. 18:07

 

요며칠 언론에서 계속 기사가 나오는 중국 위안화의 SDR편입, 무엇일까요?


용어를 먼저 살펴봅시다.

SDR (Special Drawing Rights) :

특별인출권으로 불리며, 가상의 통화이자 쉽게 생각해서 마이너스 통장으로 생각하면 될 듯합니다. , 중국의 위안화가 SDR로 편입을 하게 됨으로서 중국은 출자금 내의 한도에서 필요시 달러, 유로화, 엔화, 위안화 등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이 것이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는 과거 IMF 외환위기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한 국가에서 외환보유로 부터 자유롭다는것이 얼마나 큰 힘인지 알 수 있습니다.

 

기축통화 :

기본 축이 되는 통화로서, 국제외환시장에서 결제를 할 때 기본이 되는 통화입니다. 물론 지금도 대부분 달러로 결제를 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위안화로도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위안화 SDR편입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중국의 위안화가 SDR로 편입하기 전에는 달러, 유로, 파운드, 엔이 있었습니다.

 

그 동안 IMF실무진에서는 위안화가 기존의 다른 통화들이 비해 일반적으로 통용이 자유롭지 않다고 하여 계속해서 반대하는 입장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편입으로 인해 사실상 국제사회에서 위안화를 신뢰한다는 의미가 될 것이며, 그 보다 중국이라는 국가를 신뢰할 수 있는 국가로 인정한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수년전부터 미국을 상대할 수 있는 G2로 여러 차례 언급이 되었으나, 폐쇄적인 분위기와 중국이 가지고 있는 사회주의 때문에 그 가능성의 한계를 보는 전문가들이 많았으나, 이번 계기로 새로운 반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위안화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무역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그렇다면 중국 위안화의 SDR편입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과거 역사를 보면 중국의 WTO(세계무역기구) 가입이후 한중 수교는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입 이후 중국의 세계의 제조공장 역할을 수행하였고, 국내 기업 역시 중국의 저임금과 각종 혜택을 통해 큰 성장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보면, 중국의 SDR편입으로 인해 중국의 시장이 조금 더 개방될 가능성이 있다 생각됩니다. 중국을 종국적으로 세계무역의 중심에 있기를 원할 것이며, 그렇다면 제조, 서비스뿐만 아니라 그동안 굳게 닫혀있던 자본시장 역시 개방을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과거에 중국으로 돈을 송금할때의 절차는 다음과 같이 간소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1) 원화 - 달러가치를 비교

2) 달러 - 위안화 가치를 비교

3) 원화 - 위안화 가치를 비교

 

앞으로의

1) 원화 - 위안화 가치를 비교


뿐만 아니라, 향후 국내에서도 보다 더 큰 시장이 한국과 인접한 지역에서 열리기 때문에 성공적인 기회가 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기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기효과, 나비효과, 립스틱효과??  (0) 2015.12.10